[초보자를 위한 금형 용어 사전] 꼭 알아야 할 20가지 핵심 개념

초보자를 위한 금형 용어 사전 - 꼭 알아야 할 20가지 핵심 개념


제품 생산을 위한 필수 개념, 금형 용어 완벽 정리!

금형 제작을 고려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제조업과 관련된 업무를 시작하면서 금형 관련 용어가 낯설게 느껴지시나요?

금형은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핵심 공정이며, 관련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금형제작, 사출금형, 시제품 제작, 양산 테스트 등의 과정에서 정확한 소통이 필요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개념들을 익혀야 한답니다.


오늘은 금형제작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반드시 알아야 할 20가지 핵심 용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공장과의 커뮤니케이션이 훨씬 쉬워지고,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1. 금형(Mold)이란?

금형이란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일정한 형상을 만드는 틀입니다. 

플라스틱, 금속, 고무 등 다양한 소재를 성형하는 데 사용됩니다.

✅ 실무 팁 

금형을 한 번 제작하면 동일한 제품을 수천 개 이상 생산할 수 있어 초기 비용은 높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단가 절감 효과가 큽니다.

정밀 금형 제작 공정 이미지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 설계



2. 사출금형(Injection Mold)

사출금형은 녹인 플라스틱을 틀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방식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금형 방식입니다.

플라스틱 부품, 용기, 전자제품 케이스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 전문가 팁 

사출금형을 제작할 때는 소재별 수축률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PP(폴리프로필렌) 소재는 수축률이 높아 사전 설계 단계에서 이를 감안해야 합니다.

플라스틱 사출금형 제작 과정


사출 성형용 금형 구조 설명




3. 캐비티(Cavity)와 코어(Core)

  • 캐비티(Cavity): 제품 형상을 만들어주는 오목한 부분
    코어(Core): 캐비티의 반대편으로, 돌출된 부분

✅ 실무 팁: 캐비티 수가 많을수록 한 번에 더 많은 제품을 만들 수 있지만, 제작 비용도 증가합니다.

1X2 캐비티 = 한 번에 2개의 제품을 성형 가능

사출금형 내부 캐비티 형상


다중 캐비티 금형으로 생산량 증가




4. 공차(Tolerance)

공차는 제품을 가공할 때 허용되는 오차 범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0.05mm의 공차가 있다면 제품 크기가 0.05mm 정도 차이가 나도 허용된다는 뜻입니다.

✅ 전문가 팁

공차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정밀도가 높아지는 대신, 제작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목적에 맞게 적절한 공차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차 설계 방법


공차(Tolerance) 설계 방법




5. 러너(Runner)

러너는 사출 성형 시 플라스틱이 금형 내부로 흐르는 통로입니다.

효율적인 러너 설계를 하면 불량률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실무 팁 

러너가 너무 길면 재료 손실이 많아지고, 너무 짧으면 플라스틱이 제대로 흐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러너 디자인은 금형 제작 시 중요한 고려 요소 중 하나입니다.

금형 러너 시스템 구조


사출 성형에서 러너 역할




6. 게이트(Gate)

플라스틱이 금형 내부로 주입되는 입구입니다. 

게이트의 위치와 크기는 제품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실무 팁: 게이트를 잘못 설계하면 제품 표면에 흔적이 남거나 기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설계 초기부터 적절한 게이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출 금형 게이트 설계 종류


게이트 위치가 사출품에 미치는 영향




7. 파팅라인(Parting Line)

금형이 열리고 닫히는 접합 부분을 의미합니다.

파팅라인이 잘못 설정되면 조립 불량, 변형, 외관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문가 팁: 투명한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파팅라인이 눈에 띄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파팅라인(Parting Line) 설계 장면


접합 부분 설계 파팅라인




8. 수축률(Shrinkage Rate)

플라스틱이나 금속이 냉각될 때 크기가 줄어드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 실무 팁

재료별 수축률을 고려하지 않으면 제품 크기가 달라져 조립이 제대로 되지 않을 위험이 있습니다.

사출 성형 시 금형 수축률 계산


금형 설계에서 수축률 반영 방법




9. 냉각 채널(Cooling Channel)

사출 후 제품이 빠르게 냉각되도록 금형 내부에 설계된 유로(튜브)입니다.

효율적인 냉각 시스템이 없으면 생산 속도가 저하됩니다.

✅ 전문가 팁

냉각 속도를 최적화하면 사출 사이클 타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핫러너 시스템을 활용한 금형 설계


핫러너와 콜드러너 비교




10. 인서트 금형(Insert Mold)

금속 부품을 금형 안에 배치한 후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 예제

전자제품 커넥터, 의료기기 등에서 인서트 금형이 자주 사용됩니다.




실무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추가 용어


MAIL CONTACT

CONTACT@INANDOUT.KR

TEL

1577-0189 (10:00 - 17:00) LUNCH 11:30 - 13:30

ADDRESS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2길 11-16


BLOG

디자인구독서비스

COPYRIGHT @ IN AND OUT STANDARD. ALL RIGHTS RESERVED.

MAIL CONTACT

CONTACT@INANDOUT.KR

TEL

1577-4379 (10:00 - 17:00)
LUNCH 11:30 - 13:30

ADDRESS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숲2길 11-16


BLOG

디자인구독서비스


CEO : SUNJONG-RYU
COMPANY RESISTRATION NO. : 726-87-00025

COPYRIGHT @ IN AND OUT STANDARD. ALL RIGHTS RESERVED.